중국 위안 SDR
중국 위안화가 2016년10월1일부터 SDR에 공식 편입이 됩니다.
이로 인해 미국 달라 41.73%, 유로화 30.93%, 위안화 10.92%, 엔화 8.33%, 영국 파운드화 8.09%로 구성이 되게 되었습니다.
세계 총 3위의 규모입니다.
<SDR(Special Drawing Rights)이란?>
IMF의 특별인출권을 뜻합니다.
IMF에서 창설되어 IMF 가맹국이 규약에 정해진 조건에 따라 IMF로부터 국제유동성을 인출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초기에는 미국 달러와 영국 파운드를 제2의 통화로 해서 금과 병행시켰으나, 세계2차대전을 거치고 1967년 파운드 위기와 달라 불안을 계기로 IMF에서 제3의 통화에 국제유동성을 부여하고 국제통화로서의 기능을 주면서 생겼습니다.
1969년 IMF 제22차 총회에서 가맹 106개국에 의해 승인이 되었으며, 1970년1월1일부터 초년도에 35억 달라, 2차년도에 30억 달라, 3차년도에 30억 달라가 발행되었습니다.
1974년7월1일부터는 스탠다드 바스켓(Standard Basket) 방식을 적용하였습니다. 세계 교역에서 1% 이상 차지하는 상위 16개 주요국 통화를 적당한 단위수로 넣고, 매일 변화하는 각국 통화의 가치를 당일 외국환시장 비율에 상응한 달라로 환산하여 이로부터 역산하여 각국 통화표시의 SDR의 가치를 정하는 것입니다.
1980년9월부터는 표준 바스켓 방식이 16개국 통화에서 5개국(미국, 독일, 영국, 일본, 프랑스) 통화로 축소되었습니다.
2001년부터는 독일의 마르크화와 프랑스의 프랑화가 유로로 합쳐지면서 4개국(미국, 영국, 유로, 일본)
SDR의 구성 통화가 되면, 각국이 그 통화를 외환 보유액으로 보유하게 되고 금융과 무역 거래에서 활용이 늘어나게 됩니다.
<중국 위안 SDR 편입으로 예상되는 영향>
1. 긍정적인 예상
-위안화의 안정성과 영향력이 더 커질 것이라는 예상
-세계의 공장이자 소비 시장으로서의 중국 무역 경쟁력 강화 예상
-3조 달라 이상의 해외 자금이 중국으로 유입될 것이라는 예상
2. 부정적인 예상
-개방, 자율화 필수로 인해 공산정권에는 좋지 않은 영향이 될 것으로 예상
-위안화의 평가 절하(가치가 떨어짐) 가능성
-중국 금융 시장의 투명성과 개방성 걱정
2015년 기준 배당금 조회 (0) | 2016.10.25 |
---|---|
성과 연봉제란? (2) | 2016.10.20 |
무주택자 주택 구입 혜택(취득세 면제 방법) (0) | 2016.09.22 |
주식 - 대선 테마주 (0) | 2016.09.19 |
핀테크(Fintech)란? (0) | 2016.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