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다구리

매몰 비용(Sunk Cost)과 매몰 비용 효과


보통 주식 투자에서 많이 나오는 현상이 있습니다.

'본전 타령'입니다.
"아, 이만큼 잃었는데 본전까지만 찾으면 바로 그만 둬야지."
하지만 대부분 더 잃고 후회를 합니다.


지금까지 투자한 금전적인, 시간적인 보상 등으로 인해 판단이 흐려지면서 헤어나올 수 없는 현상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매몰 비용 효과' 때문입니다.


얼마 전,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 7이 발화로 인해 이슈가 있었습니다. 만약 이 매몰 비용 효과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지금까지 투자한 연구개발비용과 시간, 생산비용과 시간에 발목이 묶여 질질 끌었으면 더 큰 손해를 입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미국 심리학자 해들리 아크스는 1985년 이미 심리 테스트를 통해 개인적인 결정에서 매몰 비용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50% 이상이 된다고 연구한 바가 있습니다.


매몰 비용과 매몰 비용 효과가 무엇인지, 간단한 사례들과 함께 보겠습니다.


<매몰 비용과 매몰 비용 효과>
이미 매몰이 되어버려 다시는 되돌릴 수 없는 비용을 말합니다. 즉, 의사 결정을 하고 실행한 이후 발생하는 비용 중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이며, 함몰 비용이라고도 합니다. 미래에 비용이나 편익에 도움이 되지 못할 경우에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일단 지출하고나면 회수할 수 없는 기업의 광고비용이나 R&D 비용 등이 이에 속합니다.

매몰 비용에 따르는 매몰 비용 효과는, 손해가 나더라도 이미 투자한 시간과 비용을 계속 유지하려는 현상을 보이는 효과를 말합니다.
이는 돈이나 노력, 시간 등을 투입하면, 그것을 지속하려는 강한 성향이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효과입니다. 또한, 자신의 과오를 인정하기 싫어하는 자기 합리화 욕구 때문에 발생합니다.


<콩코드 효과>
콩코드 효과는 매몰 비용 효과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매몰 비용 효과를 콩코드 효과라고 하기도 합니다.
1969년 프랑스와 영국이 합작 투자하여 콩고드 비행기가 탄생하여, 1976년부터 상업 비행을 시작하였습니다.
콩코드는 속도 마하 2.2로 마하 1 이하의 기존 비행기들보다 2배 이상 빨라, 파리-뉴욕 간 비행 시간을 7시간에서 3시간대로 단축하였습니다. 하지만, 높은 생산비, 기체 결함, 소음, 대기 등의 문제로 대중화에는 실패하였습니다. 하지만, 기존 연구비를 회수하기 위해 2003년4월까지 운행을 계속 한 결과, 총 190억 달라의 손해가 추가로 발생하였습니다,


<미국과 이라크>
경제적인 손실 이외에도, 국가 정책에서도 매몰 비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이라크 전쟁입니다.
미국에서는 이라크에서 희생된 병사들을 위해 전쟁을 쉽게 포기하지 못했던 사례입니다.
2006년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나는 전쟁이 종결되기 전에 철수함으로써 이라크에서 전사한 병사들의 희생을 헛되게 만들지 않을 것입니다." 라고 연설하였습니다. 즉, '희생된 병사들'이라는 매몰 비용을 매꾸기 위해 계속 전생을 하겠다는 연설이였지만, 결과적으로는 더 많은 병사를 희생시켰을 뿐입었습니다.


<유료 문화행사>
서울 한 백화점에서 문화 행사 예약을 유료화 하는 전력을 도입한 사례가 있습니다. 문화 행사에 참가하는 비용을 1,000원으로 한 것입니다. 이는 무료로 문화행사를 진행할 경우 예약만 하고 나타나지 않는 노 쇼(No Show) 소비자들 때문이었습니다.
20%가 넘는 노 쇼 소비자들이 4%로 급감하는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1,000원의 매몰 비용을 잊지 못하는 심리적인 효과때문이었습니다.


<남녀간의 매몰비용>
이혼에서도 이런 매몰 비용 효과가 작용합니다.
남녀가 싸운 후 지금까지 한 노력에 대한 생각 때문에 헤어지지 못하는 경우들입니다. 두 사람이 같이 보낸 세월, 같이 사용한 시간과 추억, 금전적인 이유로 헤어지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보상 심리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도 있습니다. 보상 욕구로 인해 이별 통보에 격분한 나머지 보복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입니다. 한 해 1만 건 이상의 범죄가 발생하고 있으며, 스토킹이나 협박 이외에도 폭력과 살인까지 저지르며 심리적 보상을 받으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