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다구리

한국의 전력망

2016. 12. 21. 05:57

한국의 전력망

 

한국은 전기의 보급이 가장 잘 되어있는 나라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 원자력 발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원자력 발전소도 밀집이 되어 있고, 화력 발전소도 밀집이 되어 있습니다.
이런 밀집 지역에서 주 소비지역(아마 서울 등 대도시가 되겠죠.)으로 이동이 됩니다.
이렇기 위해서 결국 송전 기술이 발전하게 되었습니다.(발전되었다기보다는 많은 송전탑과 송전선을 설치하는 것이죠.)

 

한국의 발전소는 대부분 바다와 가까운 곳에 밀집되어 있습니다.
전력을 생산하면서 생겨나는 열을 식히기 위한 것입니다.

이렇다보니, 바다 근처에서 많은 전력 생산을 하다보니 전력을 끌고 올 송전선이 필요합니다.

 

154KV, 345KV로 주로 사용했지만, 최근 765KV 선로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한 곳에 전력 발전이 많이 몰리기도 하고, 송전 효율을 늘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편으로는 전력을 생산하는 곳이 몰린다는 것도 문제가 됩니다. 새로운 부지를 선정하기 어렵기 떄문에 한 지역에 계속 건설을 하게 됩니다. 어짜피 너희들이 고생하고 있으니 더 해도 된다는 인식인 것 같아서 별로 좋지는 않은 현상입니다. 새로운 부지 선정하는 것보다 더 해결이 쉽다고 합니다.
그리고, 규모가 큰 송전선이 흐르게되면 그만큼 송전에서 나오는 전파에 의한 피해도 늘어납니다. 근처에서 안테나 TV는 동작이 되지 않을 정도로 심각하기는 하지만, 국가적인 특성상 피해 보상같은 것은 거의 없고 지식이 없는 사람들 위주로 공략을 합니다. 이런 부분에 대한 보상이나 의견을 존중한다면 좋은 송전 기술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생활,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폐기물 종류와 처리방법  (0) 2017.01.04
해외 직구와 해외 구매대행  (0) 2016.12.22
3단계 누진제 개편안  (0) 2016.12.08
조류 독감(AI - Avian Influenza)  (0) 2016.12.07
조류 독감과 종류, 예방법  (2) 2016.11.28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