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다구리

2016년 노벨상 수상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한 알프레드 베르나르도 노벨(스웨덴)의 유언에 따라, 노벨이 기부한 유산 3,100만 크로나를 기금으로 하여 노벨재단이 설립된 후 1901년부터 매년 인류의 복지에 공헌한 사람이나 단체에게 수여되는 상입니다.

 

매년 12월10일 스웨덴의 스톡홀롬과 노르웨이 오슬로(평화상)에서 열립니다.

 

<생리의학상>
오스미 요시노리(일본)

일본의 생물학자
세포가 내부의 불필요한 단백질 등을 스스로 분해하고 재활용하는 메크니즘인 자가포식(Autophagy) 현상을 밝혀낸 공로로 수상

 

<물리학상>
데이비드 사울리스(영국/미국)
영국의 응집물질물리학자
울프상 수상자이며, 위상 상전이와 물질의 위상적 상의 이론적 발견을 통해 수상

 

던컨 홀데인(영국/미국)
영국의 물리학자이자 프린스턴 대학교의 유진히긴스 물리학 교수이자, 페리미터 이론 물리학 연구소 석좌 연구 학과장
위상 상전이와 물질의 위상적 상의 이론적 발견을 통해 수상

 

마이클 코스털리츠(영국/미국)
스코틀랜드계 미국인 물리학자이며, 미국 브라운 대학교 물리학 교수이자 생화학자 한스 코스털리츠의 아들
위상 상전이와 물질의 위상적 상의 이론적 발견을 통해 수상

 

<화학상>
장 피에르 소바주(프랑스)
프랑스의 화학자
1980년대 카테네인이라는 분자 기계를 만드는데 성공
분자기계를 개발하는 데 기여한 공로로 수상

 

프레이저 스토다트(영국.미국)
스코틀랜드의 화학자
카테네인 분자보다 진일보한 로섹테인이라는 분자를 만드는데 성공
분자기계를 개발하는 데 기여한 공로로 수상

 

베르나르트 페링하(네덜란드)
네덜란드의 화학자
분자기계를 개발하는 데 기여한 공로로 수상

 

<문학상>
밥 딜런(미국)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시인, 화가이며 1960년대부터 비공식 작자와 저항음악의 대표로 사랑받음
1960년대 케네디 암살, 흑인민권운동과 베트남전쟁 등으로 혼란을 겪고 있던 미국의 시대적 상황에서 블로잉 인 더 윈드 등의 노래를 발표하여 음유시인의 칭호를 얻고 저항을 상징으로 떠올랐으며, 이후로도 저항과 자유, 사랑과 평화의 메시지를 담은 노래들을 발표하여 미국 뿐 아니라 전 세계의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
음악가로는 처음으로 노벨 문학상 수상

 

<평화상>
후안 마누엘 산토스(콜롬비아)

콜롬비아 우파 정치인이며 알바로 우리베 벨레스 정부에서 국방부 장관 지냄
2010년과 2014년 2회 대통령 취임
콜롬비아무중혁명군과 4년간에 걸친 협상으로 52년간 지속된 내전을 종식시키는 평화협정을 이끌어낸 공로로 수상

 

<경제학상>
올리버 하트(영국/미국)

미국의 경제학자
공공 부문 민영화와 기업 매각에 대한 계약을 분석해, 민영화가 바람직한 분야와 그렇지 않은 분야를 구분하는 이론적 틀 제시
다양한 경제 문제를 분석하는 포괄적인 틀인 계약 이론을 발전시킨 공로로 수상

 

벵트 홀름스트룀(핀란드)
핀란드의 경제학자
1970년대부터 주인과 대리인 이론을 세워 기업의 주인인 주주가 최고 경영자와 성과를 연동시킨 계약을 맺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 이론은 대부분의 기업들이 채택하고 있는 경영자 성과연봉제의 이론적 바탕이 됨
다양한 경제 문제를 분석하는 포괄적인 틀인 계약 이론을 발전시킨 공로로 수상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