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쓰는 법
추석을 맞아 지방 쓰는 방법을 보겠습니다.
어렸을 때는, 한지에 붓펜으로 썼던 기억이 있었는데, 지금은 다양한 종류들로 씁니다.(세상이 변했으니까요.)
한지 대신 일반 종이를 쓰기도 하고, 붓펜 대신 네임펜으로 쓰기도 합니다.
프린트로 깔끔하게 출력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방 규격>
보통 폭 6cm, 길이 22cm 정도의 한지에 씁니다.
요즘은 한지 대신 백지에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요즘은 깨끗하게 프린트하여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버지를 왼쪽에, 어머니를 오른쪽에 씁니다.
한 분일 경우 가운데에 씁니다.
<지방 내용>
맨 첫 현(顯)은 평소 '나타날 현'으로 읽지만, 지방에서는 '높을 현'으로 읽습니다.
생전에 부(父)는 사후 고(考)라고 합니다.
생전에 모(母)는 사후 비(妣)라고 합니다.
학생(學生)은 생전 벼슬을 하지 못한 썼으나, 현재에는 대부분 사용합니다.
유인(孺人)은 생전 벼슬을 하지 못한 이의 아내에게 사용하였었으나, 현재에는 대부분 사용합니다.
고인이 남자의 경우 부군(府君)을 씁니다.
고인이 여자의 경우 출신을 씁니다. 대표적인 성을 들면 김해김씨, 밀양박씨 등입니다.
마지막 신위(神位)는 죽은 이의 영혼이 의지할 자리를 말합니다.
부(아버지)
현고학생부군신위
顯考學生府君神位
모(어머니)
현비유인___씨신위
顯妣孺人___氏神位
조부(할아버지)
현조고학생부군신위
顯祖考學生府君神位
조모(할머니)
현조비유인___씨신위
顯祖妣孺人___氏神位
증조부(증조할아버지)
현고조고학생부군신위
顯高祖考學生府君神位
증조모(증조할머니)
현고조비유인___씨신위
顯高祖妣孺人___氏神位
스마트폰 비교(갤럭시 노트7, 아이폰7 Plus, V20) (0) | 2016.09.28 |
---|---|
절하는 방법 (0) | 2016.09.15 |
베이크 아웃(Bake Out)을 하는 이유와 방법 (0) | 2016.09.12 |
홍역 예방접종 확인하기 (0) | 2016.09.08 |
태양열 발전이란 (0) | 2016.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