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다구리

타이어 규격 확인 방법


겨울이 옵니다. 보통 겨울이나 여름이 오기 전에 타이어 교체를 많이 합니다. 눈이나 장마 등 타이어의 역할이 중요해지는 시기 전이기도 하죠.

타이어 교체를 하기 전에, 타이어 규격을 어떻게 보는지 한 번 확인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아는만큼 고를 수 있는 폭도 넓어지니까요.
또, 타이어 교체할 때 차종만 알고 가는 경우가 많은데 규격을 꼭 알아가야합니다. 같은 차종이라도 휠 외경이 다른 모델이 많습니다.


<타이어 규격 표시 방법>

타이어 양쪽에서 모두 확인이 가능합니다. 한쪽 면에서도 보통 2개 표시합니다.


표기 방법 : 타이어 단면 폭 / 편평비 / 레디알 구조 / Rim(휠) 외경 / 하중지수 / 속도계수
표기 예 : 205 60R 16 95H


<항목 별 내용>


타이어 단면 폭
수치가 클수록 지면과 닿는 면이 큽니다. 단면 폭이 넓을수록 접지력이 높아지고 코너링이 안정적이지만, 연료 소모가 큽니다.


편평비
타이어 단면의 폭에 대한 높이의 비율입니다.
과거에는 주로 100(폭과 높이가 같은 경우)이었지만,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편평비가 높으면 연비효율은 좋아지지만, 코너링 시 안전성이 낮아집니다.
편평비가 낮으면 접지면적이 넓어지면서 코너링과 안전성이 높아집니다.


레디알 구조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대부분의 타이어가 레디알 구조입니다.
옛날에 바이어스 구조는 여러겹의 섬유층으로 이루어진 타이어가 있었지만 레디알 구조가 나오면서 거의 없어졌습니다.
레디얼 구조는 몸통부분만 1~3겹으로 감싸고 트래드 부분만 1~2겹의 스틸로 덮는 구조입니다. 층이 적어 유연성이 좋습니다. 그로 인해 주행능력이나 연비가 올라갑니다. 스틸로 덮여 있어 수명에도 장점이 있는 등 바이어스 구조 대비 단점이 없어 바이어스 구조가 없어졌습니다.


Rim(휠) 외경
타이어 외경은 동일해야하기 때문에, Rim 외경이 커지게 되면 편평비가 낮아지는 효과가 생깁니다.


하중지수
타이어의 최대하중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속도계수
속도계수가 V라고 표시된 타이어는 보통 4계절용이나 일반적인 타이어입니다.
W라고 표시된 타이어는 주로 스포츠 타이어로 보시면 됩니다.


<DOT 보기>
제조 정보를 알려주는 표시입니다.
타이어 양쪽에 표시는 되지만, 제조시기는 한쪽에만 표시됩니다.

DOT :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표기 방법 : 제조공장 / 규격정보 / 생산일시
표기 예 : YOT8 YAY1 4016

생산일시
첫 두자리는 주차이며, 끝 두자리는 년도입니다. 즉, 4016은 16년40주차에 제작된 타이어라는 의미입니다. 보통 생산된지 3개월 쯤 지난 타이어가 좋다고 합니다.

'생활,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자력 발전5(해외 원자력 사고)  (0) 2016.11.23
코스트코에 대한 고찰  (0) 2016.11.18
빼빼로 데이와 포키 데이  (0) 2016.11.11
원자력 발전4(한국 사고 사례)  (0) 2016.11.09
술 - 맥주에 대하여  (0) 2016.11.08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