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다구리

기업 분석 용어


 주식 매매를 할 때 이 종목(기업)이 얼마나 가치가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아래 항목들은 기업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크게 기업 자체로만 보는 가치 평가와, 기업 환경과 재무상태까지 고려하는 가치 평가가 있습니다.


 기업 자체로 평가하는 방식은 ROA, POE, PER, EPS가 있습니다. ROA와 PER은 기업의 총 이익에 관련된 지표이며, PER과 EPS는 주식 1주에 대한 이익에 관련된 지표입니다. ROA 및 PER은 종목을 선정하는데 확인하는 지표라고 치면, PER과 EPS는 이 종목을 사는데 적정한 주가인지 확인하는 지표로 볼 수 있습니다.
 기업 환경을 고려하는 지표로는 이브이에비타가 있으며, 기업에 특별한 환경 변화(부도, 구조조정, 감자, 출자전환 등)가 있을 때 가치를 분석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기업의 재무상태를 고려하는 PBR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ROE가 높고 EPS, EV/EBITDA, PBR이 낮은 종목을 좋다고 투자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ROE가 높은 것은 기업 수익이 높다는 것이며, EPS, EV/EBITDA, PBR이 낮다는 것은 수익 대비 기업의 평가가 낮다는 의미입니다.(즉, 기업의 가치 대비 주식이 싸다는 거죠)


 워낙 용어들이 어렵고 복잡해서 조금씩 찾아서 정리를 해보고 있는데요, 실제 이렇게 용어들을 공부할 때 종목을 찾아 참고해보면 그냥 글씨로만 볼 때보다는 다가가기 쉽습니다.(공부할 때 제일 재미없던 부분입니다. 숫자가 그렇게 와닿지도 않고요.) 주식을 살 때 가끔씩 확인해 보면 조금씩 감이 올 것입니다.


<총자산수익률-ROA(Return On Assets)과 자기자본이익율-ROE(Return On Equity)>
 1. ROA : 기업 수익률. 기업이 이익을 낼 수 있는 힘.
  - 총자산수익률(ROA)=(이익/총자산)X100
  - 기업 자금은 차입금과 자기자본으로 나뉘는데, 두가지 모두 포함되어 있는 수익률
   * 차입금은 이자지금 비용을 부담해야하고, 자기자본은 배당금과 자본이득(주가 상승 및 유,무상증자)을 제공해야 함
 2. ROE : 투자한 돈으로 얼마나 회사가 돈을 벌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
  - 자기자본이익률(ROE)=(당기순이익/평균 자기자본)X100
  - 즉, ROA가 10%라면, 기업이 낸 당기순이익의 일부는 주주들의 배당이 됩니다. 나머지는투자를 하거나 유보를 합니다.
  - 기업이 이익을 내고 있는지, 얼마나 많은 이익을 내고 있는지 확인하는 지표로 수치가 높을수록 기업이 성장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보통 10~20%를 적정 투자대상으로 보며, 20% 이상이면 수익성이 높다고 봅니다.
  - 기업이익을 예상하는 예상 ROE도 확인을 잘 해야하는데, 단순 기업에 대한 예상이며 환경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 예상도 중요하지만, ROE가 분기별(연도별) 추세 확인도 중요합니다.


<주가수익비율-PER(Price Earning Ratio)과 주당순이익-EPS(Earnings Per Share)>
 1. PER : 주가 수준을 가늠해 보는 대표적인 지표.
  - 주가수익비율(PER)=주가/1주당 순이익
  - PER이 높으면(1주당 예상순이익 대비 주가가 높으면) 고평가된 것이며, PER이 낮으면(1주당 예상순이익 대비 주가가 낮으면) 저평가된 것입니다.
  - 대략 적정 주가(기업가치)는 주당 예상순이익X주가수익비율(PER)로 예측합니다.
 2. EPS : 주식 1주가 1년간 벌어들인 이익금
  - 주당순이익=세후순이익/발행주식수
  - 보통 주당 예상순이익 산출에 사용되어, PER 산정에 사용됩니다.
  - 예상 EPS를 볼 때도 연도별 증감률 분석이 중요합니다.
  - 특히, 아주 평범한 주가로 따지면(환경이나 테마에 영향을 적게 받는), 주식 추세선은 주당순이익을 따라가는 경우가 많습니다.(보통 2~3분기)


<이브이에비타-EV/EBITDA(Enterprise Value/Earnings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nd Amoritization)>
 1. EV : 기업가치.
  - 이브이(EV)=시가총액+순차입금(총차입금-현금 및 투자유가증권)

 2. EBITDA : 세전 기준 영업현금흐름
  - 에비타(EBITDA)=영업이익+감가상각비 등 비현금성 비용+제세금

 3. 이브이에비타 : 기업가치(현금을 창출해낼 수 있는 능력)가 시가총액에 비해서 얼마나 평가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 이브이에비타(EV/EBITDA)=(시가총액+순차입금)/(영업이익+감각상각비 등 비현금성 비용+제세금)
  - 순수하게 영업으로 지금처럼 돈 벌 때, 투자한 금액만큼 버는데 몇 년 걸리느냐를 나타냄.
  - 숫자가 낮을 수록 저평가된 기업입니다.


<주가순자산비율-PBR(Price Book-value Ratio)>
 1. PBR : 기업의 청산가치(장부상의 가치)와 시장가치를 비교해보는 방법
  - 주가순자산비율(PBR)=주가/1주당 자산
  - PER이 기업의 수익성만으로 기업가치를 판단하는데 비해, PBR은 재무체질 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
  - PBR이 낮다는 것은 재무상태에 비해 주가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이며, PBR이 높다는 것은 재무상태에 비해 주가가 높다는 것입니다.
  - PBR이 1일 때 주가와 기업의 청산가치가 동일하다는 의미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